시놀로지 NAS 절전모드 해제 원인 찾기 2021.04.20

DV 2021. 4. 20. 22:28
728x90

 

NAS가 특정 시간마다 깨어나는 느낌을 받는다

뭔가 이상하다 싶어서 보고 있자니

 

매 오전 10시, 매 오전 10시 30분, 매 오전 11시 등등 반복이 된다.

누가 자꾸 정시에 일으키는건지 찾도록 해보자

 

먼저 ssh로 nas에 접속해야 한다

 

제어판 -> 터미널 에서 ssh 활성화 해주고

putty나 요즘은 cmd창에서도 가능하다

 

ssh [관리자계정]@[NAS IP] -p[접근 포트]

ex) ssh admin@192.168.0.1 -p22

 

로그인을 한 후 sudo -i 로 root 계정으로 접근 시도

패스워드는 관리자계정 패스워드와 동일하다

 

cat /etc/crontab

 

crontab은 linux 상에서 스케쥴을 걸어주는 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첫번째 숫자는 분, 시간, 일, 월, 주 순인데

0 0 1 인 첫번째는 매월 1일 0시 0분에 반복

0 11 29 인 두번째는 매월 29일 11시 0분에 반복

0 11 1 인 세번째는 매월 1일 11시 0분에 반복

(두번째 세번째는 SMART체크 관련 스케쥴이다)

 

자 대충봐도 매 30분, 00분 마다 돌아가라고 되어 있는 젤 긴거가 수상하다

id=4 라고 되어 있다

 

/usr/syno/bin/synoschedtask --get

이라고 입력하면 저장된 스케쥴들이 보여진다.

 

ID: [4]
Name: [Task 4]
State: [enabled]
Owner: [root]
Type: [daily]
Start date: [0/0/0]
Run time: [0]:[0]
Repeat every [30] min (s) until [23]:[30]
Command: [/usr/syno/bin/syno_disk_latency_collector record]
Status: [No last run record]

 

뭔지 모르지만 활성화되어 있는데 시작 시간도 없고 뭔가 이상하다

이름으로 보면 디스크 응답시간을 수집하는 뭔가 같은데 왜 하지 저걸?

찾아보자 구글링

 

마땅한 결과 값이 안나온다 이게 뭔가 의심은 하지만 뭔지 아는 사람은 없고

제조사에서도 답변을 안해주는 거 같다.

그래서 직접 문의해 봤다

한글로 답변이 안되기에 번역기로 돌려서 답변해 줬다고 한다

암튼 결론은 6.2.4에서 수정 된다고 한다

그래서 지웠다 재부팅해보고 내일 지켜봐야겠다.

 

--- 내용 추가 ---

 

해결 안되었다

DSM 6.2.4 패치를 기다려 보자...

10시에 10시 반에

대체 뭐가 돌아 가길래 계속 깨어나는걸까...

 

그래서 또 찾아 봤다 매 0분에 0-23/1 이건 대체 그냥 * 이랑 같은거다 매 시간마다 라는 의미다... 매 0분마다

이유가 어찌되었던 스케쥴이 돌아야 하고 그 내용이 스크럽하는 거라 한다 해당 내용은

저장소 관리자 -> 스토리지 풀 -> 스케쥴 내용 이다

분명 여기서는 시간을 설정 해 놨는데 실제로는 일단 스케쥴 매시간 돌리고 Yes or No 를 판단하는 멍청한 구조 인거 같다

본인은 본래 활성화 시간을 3개월에 한번씩 11시 ~ 23시 까지만 돌리도록 하였었다.

0 0-23/1 * * * 으로 되어 있는 스케쥴 표를

15 11-23/1 * * * 로 바꾸면 되지 않을까 싶다. 15분은 다른 woke up이랑 구분을 하기 위함이다.

 

그럼 내일 보자

 

--- 내용 추가 ---

일단 10시 10시 30분 11시는 그대로 깨어난다 뭔가 다른게 설정 되어 있는거 같은데 못찾겠다...

암튼 그렇지만 11~23시 사이에도 랜덤하게 깨어난다 어차피 스크럽은 매달 돌리는게 아니라서

3개월에 한번씩 돌아가라고 3,6,9,12를 지정하고 매달 1일 오전 9시 15분 부터 돌아가라 라고 설정 했다.(11시에서 수정)

10시 깨어나는게 뭔지 도통...

 

--- 내용 추가 ---

smb 비활성화 상태 임에도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발생하고 또 이 시간이 디스크가 깨어나는 시간과 일치하여 설정을 추가 변경 하였다

 

/etc/init/nmbd.conf

true => false (3군데)

exec /usr/bin/nmbd -F => exec /usr/bin/nmbd -D (1군데)

 

그리고 재부팅

 

smb브로드캐스팅 패킷 발생 안하는데 절전모드도 안들어감...

 

--- 2021.04.16 내용 추가 ---

6.2.4 업뎃이 중간에 있었고 home assistant 설치하려고 docker 설치 했더니 절전모드 안들어가고...

외장 usb 하드 붙였더니 외장하드는 절전모드 들어가고 메인 하드는 절전모드 안들어가고...

 

일단 PC가 켜져 있으니 절전모드에 잘 안들어가는 현상부터 잡으려고 4시간을 tcpdump 발생 시킴

6Mbyte 파일을 분석한 결과

 

smb 서비스 제거

PC -> nas 로 smb는 안쓰는게 좋을 것 같아서 raidrive를 ftp로 사용하도록 함

하지만 윈도우는 호락호락하게 끄는걸 허락하지 않기에

윈도우 방화벽에서 PC -> NAS로 137,138,139,445 포트를 차단 시켰음

 

 

synology drive 앱 제거

debug.dat 분석해보면 drive 관련 로그가 절전 해제 타임마다 발생하는데

이게 절전이 해제되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일단 타임스케쥴상 drive는 하루에 1회만 발생해야 하는데

계속 지 혼자 돌아가는 문제가 있음 절전 관련 기능을 생각하면 하등 쓸모 없는 앱으로 판단함

그래서 대신할 앱을 찾았는데 freefilesync 라는 프로그램을 스케쥴러에 등록해서 사용 중

구글에서 검색하면 www.google.com/search?q=freefilesync

 

freefilesync - Google 검색

2020. 9. 2. · FreeFileSync is a free Open Source software that helps you synchronize files and synchronize folders for Windows, Linux and macOS.

www.google.com

국내 사용 리뷰 글들 있으니 참조하면 됨 이게 훨씬 나은 것 같음

 

webclient 서비스 제거

tcpdump를 보면 매 41분 마다 PC -> NAS 로 80 포트로 http 전송을 시도하는 덤프가 발견되어 내용을 보니

profind나 option 같은 method를 사용하는 문제가 발견 되었는데 이게 webdav 관련 기능으로 인해 발생하는거 까지는 이해 했는데 대체 저 주소를 어떻게 알고??? 라는 생각에 찾아 봤지만 귀찮아서 포기하고 

윈도우 서비스 에서 webclient 를 비활성화 시켰음 webdav 쓰는 사람은 해제 하면 안됨

 

일단 더 지켜보고 상황봐서 도저히 안되겠다 싶으면 윈도우로 파일서버 만들던지 할 생각임

 

-- 내용 추가 2021.04.20 --

 

끝이 보인다

 

재부팅 할일이 있어도 항상 같은 시간에 다시 한번 더 재부팅을 하여 부팅으로 인한 wake up을 방지 하는데

8:31분, 11시 21분 21시 59분 이렇게 3번 기동이 되었다.

이중 8시 31분은 모바일 기기에 의한 wakeup으로 추정 된다 그 이전에 깨어난적이 없는 시간이었으니...

11시 21분은 지속적으로 기상이 되던 로그가 있다.

 

usb 하드 탓일 가능성은 없어 보이고 SSD캐쉬 활성화를 시도한 시간과 동일해 보인다.

DDNS는 꺼서 아닐 것 같다.

그래서 다시 한번 ssd캐쉬를 삭제 했다가 만들어 봤다.

내일이면 알 수 있을 것 같다.

 

21시 59분은 부팅시간이다 무조건 깨어난다 그래서 PC 및 모바일 백업 스크립트 돌아가는 시간을 이 시간으로 맞췄다.

 

자 이게 종료 되면 다시 한번 정리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