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Virus.kr

podman 으로 joplin 설치하기 본문

podman 으로 joplin 설치하기

DV 2024. 12. 31. 22:15
728x90

시놀로지 nas 가 기동하면 60W 씩 처먹다 보니 전기 사용량이 우리집 최고다 냉장고보다 더 처먹는다

그래서 이걸 어떻게 하면 사용량을 줄일까? 고민을 곰곰히 하다 일단 슬립모드에 안들어간다.

왜 docker 가 돌아가니깐...

왜 돌아가? bitwarden(vaultwarden) 이 상시적으로 돌고 synology note 도 돌아가니깐

시놀로지 드라이브도 있지만 이건 일단 고민 좀 해보자...

메인 PC를 바꾸다보니 기존에 쓰던 deskmini 4650G 가 512G 디스크를 가지고 수개월째 자고 있어서

이번에 proxmox 설치하고 옮겨보다 해서 옮기기 시작...

암튼 일단 vaultwarden 은 옮기고

 

note 도 옮기려니 뭘 써야 할지 모르겠어서 GPT에 물어보니 joplin 을 첫번째로 추천해 주길래

구글링 해보니 vaultwarden 설치 가이드가 podman 이었다... 

뭐 docker 던 podman 이던 잘 모르니 가이드 대로 설치가 첫번째

그렇게 podman 구성이 되고

 

입벌려 세팅 값 들어간다

 

mkdir -p /joplin/postgres_data

 

podman run -d \
  --name joplin-postgres \

#컨테이너 이름

  -e POSTGRES_PASSWORD=joplin \
  -e POSTGRES_USER=joplin \
  -e POSTGRES_DB=joplin \
  -v /joplin/postgres_data:/var/lib/postgresql/data:Z \

#왼쪽은 밖에서 저장될 경로, 우측은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경로

  --restart=unless-stopped \

#종료하기 전에 데몬이 내려가면 자동으로 기동
  -e TZ=Asia/Seoul \

#timezone 지정 안하면 UTC로 잡혀서 로그 보기 힘들다
  --network host \

#가이드 문서에 이거 없어서 삽질 겁나 했음
  docker.io/postgres:16

#gpt는 13버전을 추천 했는데 그냥 이것저것 테스트 하다 16버전으로 설치 해서 사용 중이다.

 

여기서 #으로 시작하는 주석문구들은 다 지워라

 

podman ps -a

명령어로 joplin-postgres 기동 중인지 확인

 

다음 joplin-server 설치

mkdir -p /joplin/data

chmod 2777 /joplin/data

#실제 데이터가 저장될 경로인데 root면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외부에서 접근 안되면 777 줘버리자 

# 아니면 아래 joplin-server 생성 후 podman exec -it joplin-server id 명령어 실행하여 나오는 id 값 1000 또는 1001로 추정되는데 그 값으로 chown -R 1001:1001 /joplin/data 주면 된다.(chmod 2777 대신 사용)

podman run -d \
  --name joplin-server \
  -e APP_PORT=22300 \
  -e POSTGRES_PASSWORD=joplin \
  -e POSTGRES_USER=joplin \
  -e POSTGRES_DB=joplin \
  -e DB_CLIENT=pg \
  -e DB_HOST=127.0.0.1 \
  -e APP_BASE_URL=https://www.naver.com \

#이거 실제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URL 인데 기본 http 이라 역방향 프록시 설정도 해야 함 이거 잘못 되면 접속 안됨
  --network host \
  -v /joplin/data:/home/joplin/.config/joplin:Z \
  --restart=unless-stopped \
  -e TZ=Asia/Seoul \
  docker.io/joplin/server:latest

 

podman ps -a 

로 기동 여부 확인

문제 없으면 위에서 APP_BASE_URL= 에서 지정한 URL 을 브라우저로 접근한다

 

초기 계정은 admin@localhost

초기 비번은 admin

로그인 한 후 Admin -> Users 에서 admin@localhost 계정을 자신의 이메일로 변경 하자

인증 메일을 수락해야 계정이 활성화 되기 때문에 그냥 수정 하자 여러명 만들어 줄거면 SMTP 설정하는 방법 알아서 찾아봐라 난 안쓸란다...

 

아니면

podman exec -it joplin-postgres psql -U joplin -d joplin

select id,email,is_admin,email_confirmed,enabled from users;

해서 나오는 생성한 이메일 계정을

update users set email_confirmed=1 where email='지정한이메일주소';

이런식으로 수정해서 쓰던지 알아서 해라 안해봤다...

 

이제 joplin 앱 윈도우용이던 휴대폰용이던 다운 받아서

joplin서버(beta) 선택해서 입력하면 동기화 될 거다

 

노트를 하나 만들고 관리자 페이지에서

items 라는 항목에 데이터가 .md 파일이 생기면 

정상적으로 등록이 된거다.

난 설정 잘 못해서 재기동 할때마다 초기화 되는 이슈가 있었는데 위에 컨피그를 그걸 해결 한것이라 문제 없길 바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