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nas docker qbittorrent 설치
어제 부터 오늘 까지 결과 적으로 공유기 문제 였지만 download station 문제로 치부하고 qbittorrent 를 설치 했다.
설치 가이드 부터 기타 설정 내용 적어 본다.
1. docker 설치
이건 다른 docker 설치 가이드를 보면 된다 그냥 설치하면 되는 거다
2. qbittorrent 설치
docker 레지스트리에서 linuxserver/qbittorrent 을 검색하여 lastest 다운 받는다
이미지에 들어가서 실행 하면 되는데
기존에 온라인에 있는건 과거 버전용인데 dsm7 에서는
브릿지 네트워크 선택, 포트 설정, 볼륨 설정 만 해 주면 된다.
포트설정
TCP, UDP 6881 이 기본값이고 GUI 접속을 위한 8080 포트 이렇게 3가지가 되어 있는데
보통 그냥 이대로 해도 문제가 안된다. 16881 / 6881 이렇게 해줘도 되고...
도커 내부적으로는 6881 을 사용 하는 것이고 외부에서 접근을 할때는 NAS IP:16881 로 접근이 되는 것이라 자동 설정 말고 수동으로 지정만 해주면 된다.
8080 또한 마찬가지다 80,443,8080 같은 포트는 빈번하게 쓰이다보니 외부 포트는 8888 등으로 뭔가 다른 숫자를 주는게 좋다.
볼륨 설정
사실 이게 가장 중요하고 최고 핵심이다.
기본적으로 설정이 저장되는 config 폴더 데이터를 저장할 download 폴더 seed 파일 관리할 거면 관리할 폴더를 지정해 주면 되는데 이게 nas 내부 권한이 꼬이는 걸 방지 하기 위해
qbittorrent 가 설치된 폴더 나의 경우 /volume1/docker/qbittorrent/ 하위에 downloads , config 폴더를 만들었다.
본인의 경우 911:911 권한을 가지게 되기에 상위 폴더에 생성하면 해당 폴더 권한이 911로 바뀌게 된다.
근데 공유폴더에 그렇게 해 봤는데 다운 안되더라... 그냥 qbittorrent/ 밑에서만 쓰자
폴더 지정은 실제 경로는
/docker/qbittorrent/downloads -> /downloads
/docker/qbittorrent/config -> /config
/docker/qbittorrent/seed -> /seed
위와 같이 저장 했다.
docker 내 에서 qbit이 실행되는 컨테이너 권한이 root 권한 보다 낮기 때문에 GUI 에서 폴더 만들어 봤자 못 쓴다.
위에서 지정된 config 랑 downloads 폴더 하위 폴더는 자동 생성 되나 그 외에 경로 지정하면 그냥은 안된다.
방화벽 설정
일단 위와 같이 설정 한 후에 다운로드 해봤자 나는 안되더라 synology 에 방화벽 권한을 좀 빡쌔게 설정해 놓다보니 발생한 일인데 방화벽 정책에 몇가지 추가를 해주면 된다.
nas 는 192.168.대역의 ip를 가지는데 설정 또한 이에 맞추어져 있고 공유기도 192.168 이랑만 통신을 하지만
docker 는 172.17.대역을 가지고 있더라
확인 방법은 nas에 ssh로 접속하고 ifconfig 쳐보면 docker0 인터페이스만 저 대역이 설정 된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에서 사용하는 것을 알고 싶으면
도커에서 컨테이너 -> 해당 컨테이너 더블클릭 -> 터미널 -> 생성 -> bash 에서 ifconfig 치면 된다.
net-tool 이 설치 안된 컨테이너는 확인이 안될거다 valuewarden 은 ip도 ifconfig 도 없더라...
아무튼 172.17.0.100 이 생성된 컨테이너 ip 라 가정하면
제어판 보안 방화벽 규칙편집 에서
포트 53 UDP 프로토콜 IP 전체 허용
ICMP 프로토콜 IP 전체 허용
모두 모두 172.17.0.100 허용
어차피 외부 라우터에 직접 물리지 않고 포트포워딩 쓸테니 저렇게 해두면 된다.
포트포워딩 안쓰면 직접 알아서 설정해라 그정도 지식 있으면 말이다.
공유기에서 설정 할 필요는 1도 없다 그냥 된다 6881 포트 지정한거 열어야 한다는데 안해도 잘 된다.
쓰레기 공유기가 아니고서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간 포트에 대해 그대로 돌려 주기 때문에 포워딩 할 필요가 없다.
UDP 53은 DNS 조회 인데 응답도 허용해 줘야 하더라 그래서 그냥 다 열어 버린다.
ICMP 또한 왜 인지 트래커에 계속 체크하고 안열어주면 안되더라
172.17.0.100 은 누구랑 통신 할지 모르니 쟤가 나가는 건 그냥 다 허용이다.
그래봤자 밖에서는 저 ip에 대한 포워딩이 안되어 있고 공유기 밖에서는 모르는 IP라 통신 안된다.
여기에 외부 접근용 443 포트로 리버스프록시 등록해주면 된다.
괜히 qbit 설정 내의 ssl 기능 쓰겠다고 하지 말고 그냥 NAS의 리버스프록시 사용하자.
자 이정도면 남은 다운로드 최적화 등등은 다른 블로그 글들을 참조하면 된다.
사실 귀찮아서 docker에 올리는거 안하려고 download station만 썼었는데 이 다운로드 스테이션이 cpu core를 1개만 써서
속도가 30~40MB/s 밖에 안나온다는 소리가 있어서 예전부터 해봐야지 벼르고 있었다가 이번에 asus 공유기 문제로 설치해서 써보게 되었다. 결론은 1기가 인터넷 써도 속도 똑같다 35MB/s 를 못 넘긴다... 왜지? 왜? ssd 에 저장하는데 왜???
그리고 asus 공유기 문제는 GT ac2900 모델의 멀린펌의 문제다 시드가 잔뜩 늘어나니 공유기가 계속 재부팅 되더라
별 문제 없어서 몰랐는데 엄청 불안정한 펌웨어 였다 더이상 나오지도 않고...
그래서 더 구형 정식 펌으로 돌아갔는데 허 아무 문제가 없다 시드가 폭주하는데도 내부망은 ping 1ms 로 고요 하더라
이젠 멀린펌 안쓸듯 싶다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백스 T10 옴니 집진 봉투를 교체하세요. 알림 해결 (0) | 2023.06.25 |
---|---|
windows 10 -> windows 11 upgrade 및 초기 설정 (1) | 2022.09.24 |
Lenovo P11 pro 2021 TTS 사용하기 (0) | 2022.06.19 |
개인 도메인을 시놀로지 NAS에 DDNS로 연결하고 인증서 적용하기 (0) | 2022.04.26 |
Ublock origin 에서 특정 팝업만 차단하기 (0) | 2022.04.23 |
아이코스 일루마 2주 사용기
사전판매때 구매하고 사용중이다
처음에는 릴 하이브리드 의 순한 냄새에만 적응 되었던 상태인데
냄새도 역하고 차안에서 피면 비린내도 다시 나고 릴 하브가 확실히 냄새가 월등히 적구나 하고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익숙해 지는데 필요한 시간은 단 2일
테리아 피우고나서 느낀 점인데 릴 하브는 니코틴을 못 느끼는 수준인거 같다
막 30분에 한번씩 땡기고 3-4개 연달아 피우고 해도 아무 렇지도 않았는데
테리아로 바꾸고 나서 부터는 2시간에 한번 꼴로 피우게 되는 거 같다
가끔 1시간도 안되서 피게 되면 피다 마는 경우도 생긴다
확실히 니코틴의 양이 다른거 같다
맛은 예전에 그냥 릴 폈을때 퍼플 그린 그린징 블루 오렌지 등등 다 펴봤는데 블루에 정착했던 것처럼
몇가지 사서 폈지만 역시나 블루 이다 적응 하는데 별 문제 없다는 소리 이다
청소는 진짜 1도 필요 없다 릴 하브도 청소 안하는 기기 지만 액상의 흔적이 진득히 뭍어 있으니 안 할 수가 없는데
이건 액상의 흔적도 없으니 그냥 완전 노터치
배터리는 흡연량이 줄어서 그런지 릴 하브는 하루를 못 버티고 저녁 늦게 까지 술 마시거나 하면 배터리 오링 났는데
이건 다음날 저녁은 되야 오링 나는 수준이다 릴 하브도 1년을 안 쓴걸 생각하면 기기가 더 거대한 만큼 배터리도 오래 간다
다만 문제가 아직 까지 일반 소매점에 보급되지 못했다는 거다
이렇게 잔뜩 쟁여야 한다는 게 단점이다
'리뷰&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PWA-3400W 사용기 (0) | 2023.06.11 |
---|---|
playaibox ux999 ultra(feat. applepie ultra) (68) | 2022.11.20 |
리브엠 LG u+ 데이터 쉐어링 회선 개통기 (0) | 2022.11.08 |
Bitwarden synology nas docker 설치 (0) | 2022.09.11 |
Lenovo P11 pro 2021 중국 내수용 구입 및 초기 설정 (8) | 2022.06.19 |
리브엠 LG u+ 데이터 쉐어링 회선 개통기
리브엠 LG u+ 회선 중에 데이터 쉐어링이 가능한 요금제가 있다.
본인은 flex lte 를 사용 중인데 11GB 가능 하다고 나와 있어서 데쉐 신청을 했다.
금요일 신청하고 월요일 우체국 등기(택배 아님)로 유심이 도착하고 개통 절차 시작
이미 셀프 개통 절차를 90% 밟아 놨기에 유심 등록만 하면 회선 개통은 된다.
그리고 나서 현재 요금제 회선이랑 데쉐 회선을 묶어 주는 작업을 진행 하면 된다.
flex lte 사용하는 기기를 확정 기변을 반드시 해야 하고 이건 그냥 보고 하면 되니 문제가 없는데
데쉐를 playaibox ux999 ultra 장치로 하려다 보니 기기 목록에 없다 셀프 개통으로는 확정 기변 불가
(다른 외산 태블릿 선택하고 진행하면 당장은 된다고 하는데 쓰다 막힐수도 있으니 좀...)
하여 영업시간(09시~18시) 사이에 고객센터로 전화를 하고 확정기변 신청을 하면
모델명 playaibox / 제품 시리얼 / imei 값 을 불러주면 개통 완료
이대로 끝은 아니고 다시 고객센터 페이지에서 개통 버튼을 눌러주면 완료
이와 같은 메시지를 보면 쉐어링 끝
'리뷰&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yaibox ux999 ultra(feat. applepie ultra) (68) | 2022.11.20 |
---|---|
아이코스 일루마 2주 사용기 (0) | 2022.11.18 |
Bitwarden synology nas docker 설치 (0) | 2022.09.11 |
Lenovo P11 pro 2021 중국 내수용 구입 및 초기 설정 (8) | 2022.06.19 |
릴 하이브리드 2.0 탄맛 매운맛 원인 및 해결법 (5) | 2022.06.12 |